EXIT

온라인예약신청

항상 최선을 다하는 SNU가 되겠습니다

온라인예약은 병원콜센터 확인전화 후 예약이 정상완료됩니다.

근육 깊은 곳에서 찌릿한 통증이 계속된다면, 근막통증증후군일 수 있습니다 > 의학정보

02.333.5151 ENG

의학정보

  • 어깨 · 회전근개 근육 깊은 곳에서 찌릿한 통증이 계속된다면, 근막통증증후군일 수 있습니다 25.07.21 16:47 13

  • ccdc064ca6bcae307428eb822b79f1a2_1753083715_2634.jpg

    서울대 의대 졸업 의료진 8명을 포함한 총 18명의 의료진과 함께하는 강서구 SNU서울병원입니다.



     

    1. 특정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번지시나요? 근막통증증후군일 수 있습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은 특별한 외상 없이도 목, 어깨, 허리 등 근육 부위에 지속적인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근육 속에 단단하게 뭉친 ‘근막(근육을 감싸는 막)’에 염증과 긴장이 생기며 발생합니다.
    통증은 해당 부위뿐 아니라 다른 부위로 퍼져 나타나는 방사통을 동반할 수 있어 다른 질환과 혼동되기 쉽습니다.
    특히 잘못된 자세, 과도한 근육 사용,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증이 만성화되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2. 근막통증증후군이란 무엇인가요?
     

    근막통증증후군은 근육과 이를 감싸는 근막 내에 통증 유발점(Trigger Point)이 형성되어, 눌렀을 때 통증이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입니다.
    이 통증 유발점은 통증뿐 아니라 근육의 경직과 움직임 제한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개 어깨, 목, 허리 등 특정 부위에 집중되며, 만성 근육통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단순한 근육통과 달리, 통증이 반복되거나 일정 부위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부위로도 번질 수 있습니다.
    진단에는 병력 청취와 촉진이 중요하며, 영상 검사에서는 특별한 이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증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유발점을 치료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3. 근막통증증후군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 오랜 시간 잘못된 자세로 앉거나 일하는 습관

    ●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 긴장과 순환 장애

    ● 반복적인 근육 사용이나 과도한 운동

    ● 사고, 염좌 등 미세한 근육 손상

    ● 운동 부족으로 인한 근육 약화 및 경직

    ● 수면 부족 또는 체형 불균형으로 인한 근막 자극

    ● 냉기에 노출되어 근육이 경직된 상태에서의 무리한 동작



     

    4. 근막통증증후군의 증상은 어떤가요?
     

    ● 근육 깊숙한 부위에서 찌르는 듯한 국소 통증이 나타납니다.

    ● 통증 부위를 누르면 다른 부위로 방사되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 통증 유발점 부근의 근육이 뭉치고 단단해지며 움직임이 불편해집니다.

    ● 목, 어깨, 허리 등 특정 부위가 자주 결리거나 당깁니다.

    ● 근육이 자주 피로하고 무거운 느낌이 들며, 일상 활동이 제한되기도 합니다.

    ● 오래 서 있거나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고 자세에 따라 통증이 변할 수 있습니다.

    ● 두통이나 턱 통증 등 비근육 부위 증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5. 근막통증증후군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근막통증증후군은 초기에는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를 통해 근육의 긴장을 풀고 통증을 완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트리거 포인트 주사나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병행하면 증상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증상이 줄어든 후에는 스트레칭과 자세 교정을 통해 재발을 막는 노력이 필요하며, 만성화된 경우 생활습관 전반을 함께 점검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6. 근막통증증후군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예방을 위해서는 같은 자세를 오래 유지하지 않고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일상 속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고 무리한 운동은 피하며, 규칙적인 운동을 습관화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수면 시에도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초기에 가벼운 통증이 있더라도 방치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재발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Q. 단순한 근육통과 어떻게 구별하나요?

    A. 일반적인 근육통은 며칠 내 회복되지만, 근막통증증후군은 유발점을 눌렀을 때 특정 통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회복이 더딥니다.


    Q. 유발점 주사는 매번 맞아야 하나요?

    A. 증상이 심할 때 단기간 몇 차례 시행하며, 이후에는 운동과 생활습관 개선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치료 없이도 자연히 좋아질 수 있나요?

    A. 일부는 호전될 수 있으나, 반복되거나 만성화된 경우 적극적인 치료와 생활습관 교정이 필요합니다. 

고객센터(콜센터 운영시간)

02-333-5151

평 일
AM 08:00 ~ PM 09:00
토요일
AM 08:30 ~ PM 12:30
점심시간
PM 12:30 ~ PM 01:30

서울 강서구 발산역 9번 출구에서 200m